블로그 이미지
올랩컨설팅의 Life 블로그입니다.
OLAP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원문 : http://www.newswire.co.kr/read_sub.php?id=314492&no=0&tl=&nmode=&ca=&ca1=%EC%A0%84%EC%9E%90%ED%86%B5%EC%8B%A0-&ca2=&sf=&st=&of=&nwof=&conttype=&tm=1&type=&hotissue=&sdate=&eflag=&emonth=&spno=&exid=&rg1=&rg2=&rg3=&tt=

(서울=뉴스와이어) 2008년01월30일-- 한국오라클(사장 표삼수, www.oracle.com/kr )은 통신 산업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과 비즈니스 조직 강화를 통해 차세대 시스템 구축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통신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나갈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한국오라클은 통신 사업자의 차세대 컨버전스 서비스 구현을 지원하는 Oracle Communications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를 국내 시장에 선보이고, 이와 동시에 통신 산업을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해 통신 사업자들의 모든 비즈니스 니즈를 충족시키는데 전력을 집중시킬 예정이다.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는 산업 선두의 오라클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툴, 통신 사업자급 미들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툴의 기능과 통신 산업에 최적화된 업무지원시스템(BSS) 및 운영지원시스템(OSS)을 통합해 제공하는 솔루션 스위트다.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는 차세대 모바일, 브로드밴드 및 IP 서비스를 지원해 통신 사업자들이 서비스 구상을 신속하게 상품화해 이익을 창출 할 수 있도록 한다.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는 새로운 통신 상품의 기획에서부터 실시간 고객 분석, 캠페인 관리 및 실행, 서비스 설계 및 성과, 과금 및 매출 관리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기술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따라서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은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를 이용해 제품 출시까지 소요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특정 고객군의 요구 사항에 맞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라클은 그 동안 통신 산업에 최적화된 통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해왔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통신 산업을 위한 Oracle Application Integration Architecture (오라클 애플리케이션 통합 아키텍처, AIA)와 그에 기반한 세 가지 종류의 Oracle Process Integration Pack (오라클 프로세스 인테그레이션 팩), 그리고 Oracle Communications Unified Inventory Management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 유니파이드 인벤토리 매니지먼트)를 선보인 것이다.

특히 Oracle Fusion Middleware(오라클 퓨전 미들웨어)를 기반으로 한 오라클 애플리케이션 통합 아키텍처는 통신 산업 최초의 선-통합형 (pre-integrated)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오라클의 Siebel CRM (시벨 CRM), Oracle Communications Billing and Revenue Management(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 빌링 앤드 레비뉴 매니지먼트), Oracle Communications Service Fulfillment Suite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 서비스 풀필먼트 스위트), Oracle E-Business Suite (오라클 E-비즈니스 스위트) 등의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 제품은 물론이고 써드-파티나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을 아우르는 통합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현한다.

또한 세 가지 오라클 프로세스 인테그레이션 팩은 통신 사업자들이 구매 요청에서 과금까지의 과정과 고객 센터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 유니파이드 인벤토리 매니지먼트는 고객, 서비스 및 자원 인벤토리에 대한 통합된 뷰를 실시간으로 제공, 통신 사업자들이 고객 중심의 차세대 서비스를 신속하게 선보이고, 재무 제어 능력과 컴플라이언스 수준을 향상시키며,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오라클은 현 회계연도가 시작된 2007년 6월 이후, Bharti Airtel (인도), Baud Telecom (사우디아라비아)과 Bayanat (사우디아라비아), Brasil Telecom (브라질), City Telecom Ltd.(홍콩), eMobile (일본), FastWeb (이탈리아), PAETEC (미국), Sun Telecom (미국), Telecom Argentina (아르헨티나), Tusmobil (슬로베니아), Vodafone Spain (스페인) 등의 기업을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 고객으로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인도 최대의 통신 사업자 Bharti Airtel의 IT 및 혁신 그룹 최고정보책임자 자이 메논 박사는 "우리는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 솔루션의 유연성, 확장성 그리고 풍부한 기능을 보고 도입을 결정했다”면서 “Bharti Airtel이 인도 내에서 급격한 성장을 거듭함에 따라,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를 통해 비용을 크게 절감한 것은 물론이고 최고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자리잡게 됐다”고 밝혔다.

오라클은 전세계 통신 산업 시장에서 1위 업체로, 현재 전세계 시장 상위 20개의 통신 회사가 모두 오라클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통신 소프트웨어 시장 조사 선두 기관인 OSS Observer는 오라클을 통신 산업에서 가장 활발하게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기업으로 선정한바 있다.

오라클의 데이비드 샤플리(David Sharpley)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 제품 마케팅 및 채널 담당 수석부사장은 "신규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이 다양한 제품을 개발해 시장에 진출하면서, 통신 산업에서 신규 서비스 출시 속도와 수준 높은 고객 서비스 제공 능력은 가장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오라클 커뮤니케이션즈는 효율 향상, 고객에 대한 포괄적인 뷰, 총소유비용 절감 등을 통해 통신 사업자가 비즈니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어느 기업도 오라클과 같은 수준의 폭넓은 솔루션과 비즈니스 가치를 제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출처 : 한국오라클

국산 OLAP기업, 틈새시장서 약진

2008. 2. 1. 14:29 | Posted by Kenial

:: 원문 :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801310124
 
2008/02/01

국내 다차원분석툴(OLAP)기업이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다.

품질도 좋아진데다가 비즈니스오브젝트(BO)·코그노스·하이페리온 등 이 분야 대표적인 다국적 비즈니스인텔리전스(BI)기업이 지난해 잇따라 인수된데 따른 틈새를 파고드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위세아이텍(대표 김종현 www.wise.co.kr)은 지난해 신한생명·정보통신정책연구원 등 신규로 12개의 고객사에 ‘와이즈 올랩’을 공급했다.

이 회사는 연 평균 8개사에 OLAP를 공급해왔다. 이 회사는 지난해 메이저 업그레이드로 기존의 다차원 분석 기능 외에 통계분석·핵심성과지표 분석(KPI) 등과 같은 고급 분석 기능을 추가하고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 클라이언트 기능을 적용했다. 또 UI 기능도 대폭 강화했다.

김종현 위세아이텍 사장은 “올해는 리포팅 기능, 임원 정보 제공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새로 추가할 예정”이라며 “전년 대비 80% 증가한 20여개 고객에게 OLAP를 공급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오브젠(대표 전배문 www.obzen.com)은 지난해 업그레이드를 포함 총 14개사에 자사의 OLAP 툴을 공급, 이 시장에서만 4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OLAP에서 올해 전년 대비 25% 증가한 50억원의 매출을 올릴 계획이다.

임춘호 오브젠 부사장은 “올해 상반기에 기능을 한 단계 끌어올린 제품을 출시하고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국내 시장의 경우 고객이 커스터마이징을 대부분 요구하는데다가 완벽한 한글 지원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점차 국산 솔루션 채택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국내 기업은 BI 전문기업이 오라클·IBM·SAP 등 거대 SW기업에게 인수된 만큼 마케팅력은 강화되겠지만 고객 대응력은 떨어질 것으로 보고 이 부분을 집중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국내 OLAP 시장 규모는 대략 300억원 정도로 추정되며 이 가운데 70% 정도를 BO·코그너스·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이 차지해왔다.

유형준기자@전자신문, hjyoo@etnews.co.kr

데이터 품질관리 툴 시장 경쟁 본격화

2008. 1. 18. 17:15 | Posted by Kenial

2007년 12월 24일

 데이터 품질 관리 시장이 본격적인 경쟁체제로 격화될 전망이다. 데이터품질관리를 소홀히 함으로써 여러문제가 나타나자 정부와 기업이 데이터 품질관리가 얼마나 중요한 지 눈을 뜨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무려 11만명에 달하는 국민의 주민등록과 호적상 기록이 국가의 잘못으로 다르게 기재돼 있는 것으로 드러나 사회적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잘못된 데이터를 추출해 내고 지속적으로 관리해 주는 데이터 품질 관리 툴에 대한 수요가 많아졌으며, 관련 툴 시장에 출사표를 내놓는 기업들도 속속 생겨났다. 데이터통합 기업들이 최근에는 데이터 품질 관리 툴 만을 구축하는 단독 프로젝트가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

 ◇데이터 품질관리에 눈 떴다=잘못된 데이터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 비용은 정보화 예산의 10∼15%로 이로 인해 매년 3000억원 이상의 예산이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도 품질관리 문제로 인해 1년에 기업이 입는 손해를 611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미국 데이터 부분 조사기관이 발표한 바있다. 국민 11만명의 주민등록과 호적상 기록이 일치하지 않다고 드러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건축물대장과 부동산등기’ ‘호적등본과 주민등록등본’ 등의 공부에 기재된 내용이 다른 경우도 많다.

 정부뿐이 아니다. 기업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고객에 관한 데이터가 잘못 관리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잘못된 주소지로 DM을 발송하고 때로 포인트 관리가 되지 않은 것들이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최근 한국신용평가정보는 기업의 신용등급 평가 시 데이터품질관리인증센터로부터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을 획득하면 최대 8점의 가점을 부과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기업 신용의 기준을 데이터 품질을 얼마나 잘 관리 하느냐로 가늠하겠다는 뜻이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김선영 팀장은 “일본에서는 연금기록이 잘못관리돼 큰 파동이 일어날 정도로 데이터관리는 매우 중요한 것”이라며 “데이터 품질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눈뜬 기업과 공공기관으로부터 품질관리 툴에 대한 툴 수요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주자 속속=국내 데이터품질관리 툴 기업으로는 아이티플러스가 대표적이다. 외산 기업들이 대부분 데이터 통합 솔루션에 품질관리 툴까지 포함시켜 공급하는 것과 달리 이 회사는 품질관리만을 위한 툴 ‘DQ마이너’를 통해 20여 개의 레퍼런스를 확보하며 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IDS, 비케이에스엔피, 엔케이엠홀딩스 등이 가세하면서 경쟁에 나섰다. 특히 베케이에스엔피는 이 시장을 겨냥해 지난 해 설립한 벤처 기업으로 최근 품질관리툴 Q2를 내놓으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엔케이엠홀딩스는 올랩컨설팅과 함께 품질관리툴 ‘DQ스테이션’을 공동으로 개발했다.

 외산 기업들은 주로 데이터통합 솔루션에 품질관리 툴을 포함시켜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품질관리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대기업들이 전문기업들을 인수함으로써 툴을 포함시키는 경우도 많아졌다.

 인포매티카는 데이터품질관리 솔루션 ‘인포매티카 릴리즈’를, IBM은 어센셜 인수 후 정보통합 제품 인포메이션서버에서 데이터 품질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SAS는 데이터플럭스 인수를 통해 품질관리 툴을 내놓았다. 비즈니스오브젝트도 품질관리 툴 ‘퍼스트 로직’을 내놓았으며, 데이터통합 기업인 퍼베이시브는 최근 엔케이엠홀딩스를 총판으로 선정, 통합 시장과 품질관리 시장을 모두 공략 중이다.

 이영수 엔케이엠홀딩스 사장은 “데이터 품질관리의 문제는 기업 경영의 필수 요소가 될 것”이라며 “데이터 품질 관리 과정 자체가 복잡하고, 자동화 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는 점을 공략해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전자신문, okmun@etnews.co.kr




엔케이엠홀딩스-올랩컨설팅, 데이터품질관리 솔루션 공동 개발 (원문링크)

2007년 12월 4일

  엔케이엠홀딩스(대표 이영수 http://www.nkmholdings.com/)는 비즈니스인텔리전트(BI) 기업인 올랩컨설팅(대표 서문수 http://www.olap.co.kr)과 공동으로 개발한 데이터품질관리 솔루션 ‘디큐스테이션(DQ Station)’을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자동화된 데이터품질관리 솔루션으로, 그동안 수작업으로 진행된 데이터 분석·추출 등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한 것이 특징이다.

 엔케이엠홀딩스와 올랩컨설팅은 오류 데이터를 비즈니스 인텔리전트 기법에 의해 자동으로 분석, 오류의 원인을 부서·발생일자·담당자·주요항목·원인시스템 등 여러 항목으로 나누었다.

 또 다양한 분석 기법을 통해 고객이 오류 데이터 원인발생에 대해 스스로 진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석데이터를 제공하는 것도 기존의 방식과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이 회사는 기업이 DQ스테이션을 채택, 수익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세계 유수의 컨설팅 회사와 기업 측면의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조직 내 품질관리 부문을 운영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 및 컨소시엄도 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년 초에는 품질관리에 대한 완벽한 솔루션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영수 대표는 “미국의 경우 품질관리 문제로 인해 일년에 기업이 입는 손해를 611조원에 이른다”며 “데이터품질관리가 중요하지만 기존 솔루션은 고객 데이터 중 일부 부분을 샘플링해서 데이터를 추출, 오류 데이터를 확인하고 정제하는 과정을 수작업으로 해 불편했다”며 제품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문보경기자@전자신문, okmun@etnews.co.kr

IBM, 차세대 BI 전략 발표

2007. 3. 29. 13:07 | Posted by leebaro

IBM이 다이나믹 웨어하우징을 중심으로 새로운 전략들을 발표 했습니다.
새 BI전략을 달성하기 위해서 IT 기술의 발달이 중요하게 보입니다.
데이터 관리의 편리성, 데이터 스토리지 성능 향상이 뒷 받침이 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봅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 분석, 데이터 마이닝을 하여 정보화에 우위를 두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더 발전되는 IT 기술과 하드웨어를 통하여 많은 BI 업체들이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같습니다.

http://www.fntimes.com/sub/list_view.asp?num=022007032901207
http://www.ddaily.co.kr/news/?fn=view&article_num=22387
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02

MPC Online Demonstrations

2007. 3. 22. 10:00 | Posted by Kenial
원래 Extensity사의 홈페이지에 Decision 관련 온라인 데모가 있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데모가 없어진 것 같습니다. Extensity의 다른 솔루션 중에 MPC라는 성과 관리 솔루션이 있는데, 이 성과 관리 솔루션에 Decision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MPC의 온라인 데모를 살펴보시면 Decision의 환경이 어떤지 대충이라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nsolidation의 Part 3 'Reporting & Analysis' 화면입니다.



데모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http://www.extensity.com/object/MPC_online_demos.html

Oracle, Hyperion 인수

2007. 3. 3. 10:23 | Posted by Kenial
관련 링크 : Oracle to Acquire Enterprise Performance Management Leader Hyperion


2007년 3월 1일, Oracle이 기업 성과 관리 분야의 강자인 Hyperion을 인수한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Hyperion의 주식을 주당 $52기준으로, 총 금액 약 33억 달러 규모의 인수라고 하네요. 인수 합병에 대한 정보를 공개한 페이지에 가 보면 '고객에게 보내는 서신', '파트너에게 보내는 서신'이라는 문서가 있는데, 일단 문서 자체로는 기존 서비스 조직이나 파트너 영업 조직도 그대로 껴안고 가겠다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습니다. 한국 하이페리온 지사는 어떻게 될지는 아직 모르겠지만요.

최근 Oracle은 꽤 기업인수합병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군요.
이로써 Oracle은 MDB의 대표적인 제품을 확보했고, 다음 행보가 궁금해집니다.